랭 그래프 메모리 세이버
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영화 “메멘토”에서와 같이 기억력 장애가 있는 AI는 과거 사건을 기억하는 데 어려움을 겪습니다. 이를 해결하기 위해 랭 그래프는 “메모리 세이버”라는 기능을 제공합니다.
메모리 세이버는 챗봇에 메모리 기능을 추가하여 사용자가 과거 대화 내용을 참조할 수 있도록 합니다. 이를 통해 AI는 세션이 변경되어도 이전 대화를 기반으로 응답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.
메모리 세이버 사용 방법
- 메모리 세이버 클래스 임포트하기
- 메모리 세이버 인스턴스화 및 체크포인트 정의하기
- 체크포인트를 사용하여 그래프 스테이트에 데이터 저장하기
메모리 세이버는 메모리 관리에 다음과 같은 옵션을 제공합니다.
- SQlite 세이버: SQL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 저장
- 호스트 그레스 세이버: 호스팅형 그래프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 저장
- 몽고DB 레디스: MongoDB 또는 Redis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 저장
툴 로드와 툴스 컨디션
랭 그래프의 “툴 로드”와 “툴스 컨디션” 기능은 AI가 사용할 도구를 간편하게 정의하고 관리하도록 해줍니다.
- 툴 로드: 미리 정의된 도구를 그래프에 로드하기
- 툴스 컨디션: 도구 사용 조건 설정하기
겟스테이트
“겟스테이트” 기능은 특정 시간대의 그래프 스테이트 정보를 가져오거나 업데이트하는 데 사용됩니다. 이를 통해 AI는 이전 대화 히스토리에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.
요약
랭 그래프의 메모리 세이버, 툴 로드, 툴스 컨디션, 겟스테이트 기능을 사용하면 기억력 장애가 있는 AI를 개선하여 세션 간에 대화를 유지하고 이전 정보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습니다.